Data house
생활코딩 node.js _1강부터 3강까지 본문
HTML의 한계로 인해 탄생한 것이 node.js이다.
수정해야할 HTML의 갯수가 많다면 아마 포기하고 싶을 것이다.
(javascripts의 선행이 필요한 과목이다.)
node.js을 사용한다면, 단 하나의 template.js 파일로 1억개의 web page를 단번에 바꿀 수 있다.
그리고 만들어진 web에 방문한 사용자의 참여를 바란다면 html의 파일을 직접만들었어야했는데
node.js에는 방문사용자가 직접 CRUD를 할 수 있도록 한다.
node.js의 경쟁자로는 PHP, Django, JSP, Ruby.. 등등이 있다.
WEB Browser와 그 위에서 돌아가는 WEB Application(=WEB PAGE)이 있다고 하자
제목, 목록, 링크를 표시하고 싶을 때
WEB Application에 기능을 어떤 컴퓨터언어의 문법(HTML)에 따라서 도출할 수 있다.
여기서 우리는 node.js에 중점을 둬서 위의 말을 정리하자면,
WEB Application = Node.js Application
HTML = Javascripts
WEB Browser = Node.js runtime
이라고 할 수 있다.
생활코딩 node.js 강의에서는
Node.js runtime를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후 javaScript라는 컴퓨터 언어를 통해서 Node.js runtime을 실행시켜
우리가 만들고자하는 Node.js Application을 어떻게 만들게 되는 것인가를 배우게 될 것이다.
node.js를 설치한 후 바탕화면에 node.js폴더를 따로 만들어서
atom에서 폴더로 들어간 후 helloworld.js 파일을 만들었다.
(helloworld.js안에 #console.log(1+1)이라고 저장되어있음)
cmd창에 #node helloworld.js라고 치면 결과값 2를 반환한다.
'WEB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활코딩 node.js_17강부터 19강까지 (0) | 2020.09.06 |
---|---|
생활코드 node.js_14강부터 16강까지 (0) | 2020.09.05 |
생활코드 node.js_10강부터 13강까지 (0) | 2020.09.05 |
생활코딩 node.js_ 7강부터 9강까지 (0) | 2020.09.04 |
생활코딩 node.js_4강부터 6강까지 (0) | 2020.09.02 |